청년도약계좌는 최대 5년동안, 월 70만원을 저축하게 되면 최대 5,000만원을 모을 수 있게 하는 국정과제91을 기반으로 한 제도입니다. 비과세 혜택과 이자, 기여금까지 받을 수 있어 아래 내용 확인해보시고 조건에 맞으시다면 꼭! 가입하시기 바라겠습니다.
출시일
2023년 6월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12월까지 매월 가입신청을 받을 예정이라고 합니다.
매월 2주간 가입신청을 받고 가입 신청 후 2-3주 내에 결과가 통보됩니다.
월 납입 한도 및 만기
월 70만원 한도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5년 만기 상품입니다.
가입 후 최소 3년간은 고정금리가 적용되며 이후 2년 동안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.
5년 만기 상품이나 1년주기로 조건에 해당하는지 유지심사를 진행하게 됩니다.
가입 가능 나이
청년도약계좌는 만 19~34세 청년만 가입할 수 있으며
병역 이행기간은 연령계산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군필자라면 35세라도 가입이 가능합니다.
소득기준 제한과 유의할 점
총급여 7500만원 이하와 가구소득 기준(중위 180% 이하)을 충족해야하며 유의할 점은 직전 3년동안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했다면 가입이 제한된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무직(소득이 없는 경우) 청년희망적금은 가입이 불가능합니다.
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혜택
이자뿐 아니라 기여금이라는 명목으로 지급이 됩니다.
기여금은 월 40만원 한도내에서 개인소득 구간에 따라 월 기여금의 한도가 아래의 표와 같으며 6천~7.5의 경우에는 이자소득세에 대한 비과세 (15.4%)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.
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능 여부
청년희망적금과 중복은 불가능합니다!
청년희망적금이 만기가 되거나 중도해지해야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.
다만, 청년내일저축계좌나 청년내일채움공제 등은 중복 가입이 가능합니다.
'Money-checker >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원거주 20대 청년 10만원 지원비 받는 방법 (0) | 2023.04.26 |
---|---|
근로자의 날 노동절 휴무 - 은행, 병원, 학교 휴무여부 및 휴일수당 (0) | 2023.04.25 |
임대인 집주인의 미납세금을 동의없이 확인하는 방법 (0) | 2023.04.19 |
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 자격요건 알아보기 최대 120만원 복지포인트 제공 (0) | 2023.04.18 |
4대보험은 몇 살까지 가입할수 있을까? 고용보험,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산재보험 가입연령 (0) | 2023.04.03 |
댓글